겨울철 뜨는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, 공기압 38로 맞춰야 하는 이유
날씨가 추워지면 자동차 운전자라면 가장 흔히 보는 경고등이 있습니다. 바로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입니다 . 매뉴얼에는 보통 33~35psi 정도로 나와 있지만, 실무에서는 대부분 38psi 를 권장하고 있습니다. 그 이유를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 타이어 공기압은 일정하지 않습니다 10분 정도만 운전해도 타이어 공기압이 1~2psi씩 올라갑니다. 그만큼 타이어 공기압은 고정된 값이 아니라 주행 시간, 타이어 온도, 외부 기온 에 따라 계속 변동합니다. 특히 겨울철에는 외부 온도가 낮아지면서 자연스럽게 공기압도 떨어지게 되고, 이 때문에 경고등이 더 자주 들어오는 겁니다. 매뉴얼상의 공기압 수치, 그대로 믿어도 될까? 자동차 매뉴얼에 나오는 적정 공기압 수치(예: 33psi) 는 10℃ 환경에서 측정된 기준치 입니다. 그런데 현실적으로 주유소나 정비소에 갈 때, 이미 10분 이상 주행한 상태 인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. 이때는 타이어 내부 온도가 올라가 있기 때문에, 매뉴얼대로 맞춰 넣기가 어렵습니다. 만약 매뉴얼대로 33psi로 맞춘다면, 주차 후 공기압이 식으면서 👉 30 이하로 떨어져 경고등이 바로 뜨는 경우가 많습니다. 그래서 실무에서는 38psi를 권장합니다 타이어 경고등은 보통 30psi 이하 일 때 점등 됩니다. 따라서 정비소나 타이어샵에서는 한두 달 후에도 경고등이 뜨지 않도록 38psi 정도로 맞춰주는 것 입니다. 👉 이 정도로 맞추면 장기간 주행에도 안정적 갑자기 경고등 뜨는 일 적음 실제 타이어 수명이나 안전에도 큰 문제 없음 즉, 꼭 매뉴얼 수치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, 운전 습관과 환경 에 따라 약간 다르게 맞추는 게 실무적으로는 더 유리합니다. 경고등이 떴을 때 펑크인지 자연 감소인지 구별하는 법 경고등이 켜지면 누구나 “혹시 펑크 난 건 아닐까?” 걱정이 됩니다. 하지만 계기판 공기압 수치 만 잘 봐도 쉽게 ...